맨위로가기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天安 廣德寺 朝鮮寫經)은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寫經)입니다. 사경은 불경의 내용을 정성스럽게 옮겨 적고 화려하게 장식하여 꾸민 것을 말합니다. 1997년 6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4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광덕사 조선사경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백지 묵서 부모은중경 및 불설 장수 멸죄 제동자 다라니경 (白紙 墨書 父母恩重經 및 佛說 長壽 滅罪 諸童子 陀羅尼經) 2권 1첩: 부모의 은혜를 10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은혜를 갚기 위해 공양하며 경전을 읽고 외울 것을 권장하는 내용입니다. 각 내용에 따른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1396~1486)이 부인, 아들과 함께 시주하여 만들었습니다.
  • 백지 묵서 불설 장수 멸죄 제동자 다라니경 및 대승기신론 (白紙 墨書 佛說 長壽 滅罪 諸童子 陀羅尼經 및 大乘起信論) 2권 1첩: 부처의 힘을 빌리거나 수행을 통해 모든 죄악을 없애고 장수하는 법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정확한 제작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지질, 변상도, 본문 글씨 등을 볼 때 조선 초기의 사경으로 추정됩니다.
  • 백지 묵서 묘법연화경 권 제1, 3, 5, 6, 7 (白紙 墨書 妙法蓮華經 卷 第1, 3, 5, 6, 7) 5권 5첩: 작성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권수의 금니변상도와 본문 글씨의 품격으로 보아 조선 초기 사경으로 추정됩니다.


광덕사 조선사경은 모두 백지에 먹으로 썼으며,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와 달리 사경 관련 전담 기관이 없었으므로, 글씨에 뛰어난 문신이나 승려가 사경에 참가했습니다.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한자 표기天安 廣德寺 朝鮮寫經
상세 정보
국가대한민국
유형보물
지정 번호1247
지정일1997년 6월 12일
해지 여부해당사항 없음
주소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광덕리)
시대조선시대
소유자광덕사
수량3종 7첩
문화재청 ID12,12470000,3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